2023, BELLE FAUST

리서치 49

모두의 혁명법 1 ~ 2

# 발췌 : 신승철. [모두의 혁명법] (알렙, 2019) * 기계 : 가타리는 기계 개념을 다시 정립하는데, 모든 주체적 움직임을 틀지우는 구조 개념에 대항하여, 그는 이른바 '구조'라고 하는 것은 사실상 다양한 부품들이 조립되어서 작동하는 것으로 보았다. 정신적인 것이나 무의식적인 것 등도 특정한 모델에 묶인 채 움직이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방향에서 다양한 다른 것과 접속하면서 움직인다고 생각한다. 그것을 나타내기 위해 기계적(machinique)라는 말을 사용한다. 결정론적인 의미에서의 기계학(mecanisme)이 아닌, 기계적 작동(반복)을 강조하기 위해 기계론(machinisme)을 내세운다. 기계론의 기계들은 접속에 초점을 맞추고, 그래서 서로 밀어내고 선택하고 배제하는 새로운 가능성을 만들지..

리서치/자료 B 2023.06.29

플랜, 사운드 작업 2-1

'플랜, 사운드 작업 1' 에서 밝힌 음향 생태학적 설계의 의도를 '해체'라는 주제와의 연관성 속에서 사운드 작업을 다음과 같이 정리한다. 본 프로젝트에서의 사운드 설치는 3가지로 구성되고, 이를 각각 sound A, sound B, sound C로 명명한다. sound A와 sound B는 각각 금속과 목재로 만들어진 구조물에 음향 오디오 프로세서를 결합한 자체 제작 스피커를, sound C는 일반 상업용 스피커를 사용한다. => 모든 사운드는 정지된 모습이 아니라 실시간으로 변형이 가능한 상태가 되기 위해 real-time 오디오프로세싱 알고리듬 안에서 구동되어진다. 각 사운드의 프로세싱은 사운드의 구성 요소들을 파라미터화 시키게 되는데, 염기서열 발생에 관한 generative 알고리듬의 결과물에 ..

플랜, 사운드 작업 1

일본의 소리 풍경 연구자 토리고에 게이코는 그의 저서 '소리의 재발견(2014)'에서 서양 현대 음악의 흐름 속 음악 소재 변천 과정을 청자와 연주자 사이에 존재하는 무형의 벽이 어떻게 허물어져 가게 되었는지를 통해 보여주었다(참고 : https://bellefaust.tistory.com/56). 음향의 구심적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고대 로마 그리스 문명에서 부터 시작되었던 원형 극장은 중세 시대를 거쳐 과학 혁명 시대에 이르러 더욱 견고하고 효과적인 건축 기술에 힘입어 콘서트 홀이라는 공간으로 한층 발전된 모습의 바운더리를 인류 문명에 심어 놓게 되었다. 이로써 오감의 몰입은 더욱 가중화 되고 감상의 밀도는 더욱 짙어지게 되는 효과를 낳았지만, 콘서트 홀이라는 바운더리가 스스로 외부 세계..

SOUNDSCAPE 02

.. 소리 풍경이라는 사고법에서는 어떤 소리를 그 소리가 속한 장소의 소리 환경 전체, 그 소리가 들리는 소리 풍경의 맥락 안에 위치시켜 파악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정한 소리를 거기서 함께 울리는 다른 여러 소리들과 관계성 속에서 파악하는 것이 가능하다. 소리를 파악하는 방법과 관련하여 R. M. Schafer는 다음과 같은 개념을 구분하였다. - sound object (음향체) : 프랑스 작곡가인 P. Schaeffer가 창안한 어휘이다. 인간이 지각할 수 있는 가장 작은 독립적 요소로서, 소리가 갖는 상황 / 사회적 맥락과는 분리가 된 물리적/ 현상학적인 대상으로서 음향 구조 혹은 구성체로 간주된다. - sound event (음사상) : 어떤 소리를 그 소리가 포함된 소리 맥락 혹은 문화 / 사회..

리서치/자료 C 2023.05.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