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 BELLE FAUST

리서치/자료 C 3

SOUNDSCAPE 02

.. 소리 풍경이라는 사고법에서는 어떤 소리를 그 소리가 속한 장소의 소리 환경 전체, 그 소리가 들리는 소리 풍경의 맥락 안에 위치시켜 파악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정한 소리를 거기서 함께 울리는 다른 여러 소리들과 관계성 속에서 파악하는 것이 가능하다. 소리를 파악하는 방법과 관련하여 R. M. Schafer는 다음과 같은 개념을 구분하였다. - sound object (음향체) : 프랑스 작곡가인 P. Schaeffer가 창안한 어휘이다. 인간이 지각할 수 있는 가장 작은 독립적 요소로서, 소리가 갖는 상황 / 사회적 맥락과는 분리가 된 물리적/ 현상학적인 대상으로서 음향 구조 혹은 구성체로 간주된다. - sound event (음사상) : 어떤 소리를 그 소리가 포함된 소리 맥락 혹은 문화 / 사회..

리서치/자료 C 2023.05.28

SOUNDSCAPE 01

"소음 공해는 인간이 소리를 주의 깊게 듣지 않을 때 생기고, 소음이라는 것은 우리가 소홀히 한 소리이다." 캐나다의 작곡가 R. M. Schafer(1933~2021)는 현대 사회에서 소음이 범람하는 가장 근본적인 원인은, 음악으로만 편향된 채 음악 이외의 환경음 일반에 대해서는 폐쇄성을 보이는 현대인들의 청취 태도를 문제 삼고 있었다. 이러한 청취 태도가 보편성을 얻은 것은 음악이 콘서트홀 안으로 들어가면서 부터이다. 음악가는 이제 오로지 콘서트홀 안의 소리에만 관심을 집중하며 바깥의 환경음에는 귀 기울이지 않는다. 그의 저서 [세계의 조율]에는 우리를 둘러싼 세계에서 소리의 조화를 추구해 가는 행위로 음악을 재인식해야 된다는 주장을 펴고 있는데, 음악가 스스로가 콘서트홀을 벗어나 환경에 귀를 열어야..

리서치/자료 C 2023.05.28

SOUNDSCAPE 00

'사운드스케이프'는 소리를 뜻하는 단어 '사운드(sound)'와 풍경 또는 경관을 뜻하는 접미어 '스케이프(scape)'가 결합한 말로 우리 말로 번역하면 '소리 풍경'이라는 의미로 이해된다. 현대 음악의 줄기 속에서 이러한 단어가 등장하게 된 것은 1960년대에서 1970년대로 넘어가는 시기, 캐나다의 현대 음악/작곡가 R. M. Schafer(1933~2021)의 지대한 노력과 공헌에 의해서 였는데, 그는 기존의 음악에 대한 전통적 관습과 관념을 지적하고 현대 사회가 가진 소음이라는 문제점이 어디에서 기인하는가에 대한 철학적 물음과 소리를 생태학이라는 학문과의 연계 속에서 파악하고 음악을 바라보는 새로운 시각을 던져 주었던 인물이었다. 일본의 어느 학자 토리고에 게이코는 그의 음악적 견해를 하나의 사..

리서치/자료 C 2023.05.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