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 BELLE FAUST

리서치 49

SOUNDSCAPE 01

"소음 공해는 인간이 소리를 주의 깊게 듣지 않을 때 생기고, 소음이라는 것은 우리가 소홀히 한 소리이다." 캐나다의 작곡가 R. M. Schafer(1933~2021)는 현대 사회에서 소음이 범람하는 가장 근본적인 원인은, 음악으로만 편향된 채 음악 이외의 환경음 일반에 대해서는 폐쇄성을 보이는 현대인들의 청취 태도를 문제 삼고 있었다. 이러한 청취 태도가 보편성을 얻은 것은 음악이 콘서트홀 안으로 들어가면서 부터이다. 음악가는 이제 오로지 콘서트홀 안의 소리에만 관심을 집중하며 바깥의 환경음에는 귀 기울이지 않는다. 그의 저서 [세계의 조율]에는 우리를 둘러싼 세계에서 소리의 조화를 추구해 가는 행위로 음악을 재인식해야 된다는 주장을 펴고 있는데, 음악가 스스로가 콘서트홀을 벗어나 환경에 귀를 열어야..

리서치/자료 C 2023.05.28

SOUNDSCAPE 00

'사운드스케이프'는 소리를 뜻하는 단어 '사운드(sound)'와 풍경 또는 경관을 뜻하는 접미어 '스케이프(scape)'가 결합한 말로 우리 말로 번역하면 '소리 풍경'이라는 의미로 이해된다. 현대 음악의 줄기 속에서 이러한 단어가 등장하게 된 것은 1960년대에서 1970년대로 넘어가는 시기, 캐나다의 현대 음악/작곡가 R. M. Schafer(1933~2021)의 지대한 노력과 공헌에 의해서 였는데, 그는 기존의 음악에 대한 전통적 관습과 관념을 지적하고 현대 사회가 가진 소음이라는 문제점이 어디에서 기인하는가에 대한 철학적 물음과 소리를 생태학이라는 학문과의 연계 속에서 파악하고 음악을 바라보는 새로운 시각을 던져 주었던 인물이었다. 일본의 어느 학자 토리고에 게이코는 그의 음악적 견해를 하나의 사..

리서치/자료 C 2023.05.28

생태 지표, 꿀벌의 춤 언어

꿀벌의 폐사와 시사점 최근 10~20여 년 사이, 전세계적으로 꿀벌들이 집단 소멸되는 상황이 연이어 일어나고 있다. CCD라고 하는 군집붕괴현상이 꿀벌의 경우 2006년 미국에서 처음 보고되었고, 이미 미국과 유럽에서는 꿀벌의 30~40%가 소멸되었다. 대한민국에서는 2022년 부터 꿀벌의 대량 집단 폐사 및 실종이 지속적으로 관찰되어왔다. 제주에서 시작된 이러한 사건은 점차 전국 각지로 번져서, 2022년 1분기 양봉 통수를 기준으로 피해가 확인된 정도는 전라남도가 43%, 충청북도가 19%, 제주도가 15%에 이른다. 그 정확한 원인은 아직도 밝혀지지 않고 있으나, 살충제의 과다 살포가 꿀벌의 신경계를 망가뜨리고 면역력을 떨어뜨린다는 연구, 이상 기온 현상으로 채밀 활동 시기를 오판하여 대량 폐사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