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n Hutchinson Guest(1918~2022)는 자신의 저서 [Labanotation or Kinetography Laban]을 통해 Rudolf von Laban(1879~1958)이 남긴 무용 notation system - kinetography를 더욱 체계화 시켜서 이를 labanotation라 명명하고 움직임 분석의 틀을 제공함과 동시에 무용 기보 체계 확립에 커다란 기여를 하였다. 생애 동안, 80여 개의 무용 기보를 분석하여 20여개의 기보를 labanotation으로 번역하기도 하였다. 1930년대 잉글랜드에서 labanotation을 연구하고, 현대 무용과 발레 동작 훈련을 받았으며, 뉴욕으로 건너와 Dance Notation Bureau를 설립하여 줄리어드에서 후학을 양성 하였다. 1997년에는 CORD로 부터 무용 리서치에 대한 공로를 인정받았으며, 1998년에는 무용학 연구 구겐하임 펠로우쉽을 수상하기도 하였다.
- 출처 : https://en.wikipedia.org/wiki/Ann_Hutchinson_Guest
Ann Hutchinson Guest의 저작 [Labanotation or Kinetography Laban](1974)에서는 무용으로 표현되어지기 위한 동작의 미세한 부분까지 설명하고 있다. 움직임의 방향과 높낮이, 움직임을 만드는 신체의 각 부분들, 움직임의 시간 길이, 움직임의 질적 측면으로 분류를 한다. 움직임을 위한 인체 활용의 거의 모든 측면을 망라하고 있지만, 본 프로젝트에서는 모든 기호를 활용하는 것을 지양하고 주제와 흐름을 잘 드러낼 수 있는 방향으로, 임의적으로 기호들을 선별 및 분류하여 활용하고자 한다.
Motif Writing 기호, 능동성을 위한 여지
Ann Hutchinson Guest는 자신의 저서에서 motif writing에 관한 구분을 한다. 모든 측면을 꼼꼼하게 제한하여 기록하는 것이 아니라 무용 기보의 측면에서 무용가의 임의적/ 자율적 선택의 폭을 넓히기 위해 방향이나 높낮이 등만을 제시하여 표현하는 방식이다. Motif writing 기호의 분류 범위는 일반적으로 정해져 있지는 않다. 그리고 이것을 사용하여 안무를 기록하는 입장에서 어느 정도 자율적 범위가 제공되기 때문에, 경우마다 작성자 마다 서로 다른 기호의 범위를 갖게 된다. 물론 labanotation 기호에서 motif writing을 위한 기호들이 선택되어 진다.
Motif writing을 따로 분류하는 것은 무슨 의미를 지닐까. 또한 이것의 범위를 일반적으로 제한하지 않는다는 것은 어떠한 의미일까. 기보자 입장에서 혹은 기호를 보고 구현해 내는 무용가 입장에서 단지 복잡함을 줄일 수 있는 편의를 위한 수단에 불과할까. 이에 대한 명확한 의미가 제시 되어 있지 않으나, 이는 아마도 자율적/ 즉흥적 표현의 중요성에 대한 여지를 남겨 놓기 위한 방법이 아니었을까 한다. 가령, 재즈 연주가들을 위한 악보에 표현되어지는 음표 구성은 정말 단순할 정도이다. 하지만, 이를 구현해 내는 악기 연주자들은 이를 그대로 받아들이지 않는다. 단순한 진행과 구성을 바탕으로 연주자들이 공통된 흐름을 확인할 뿐, 스스로의 프레이징 창작과 구상, 아티큘레이션의 범위는 매 순간 연주자의 선택에 따라 달라진다. 그리고 그에 따른 즉흥적 구성과 흐름에 능동성이 부여되어 매 순간 살아있는 다양한 느낌을 전달하게 된다. 재즈 연주자들이 즉흥 파트로 진입하게 되면 주변의 집중도가 고조되는 묘미가 생기게 되는 것도 이 때문이다.
자율적 움직임을 보여줄 수 있는 생명체를 대상으로 했을 경우, 해당 행동의 미세한 부분까지 모든 움직임의 모습과 그 이유를 현재 인류의 지식으로는 관찰자 입장에서 알아낼 수도 없거니와 그러한 움직임의 기록과 재현이 과연 어느 정도나 중요한 의미를 지닐지는 미지수일 것이다. 모든 움직임의 미세한 정확도를 재현하는 것은 능동적 주체에서 일어날 수가 없을 것이며, 매 순간에 발견되는 자극과 그에 대한 자율적 행동의 여지는 움직임 주체의 특성을 고려하지 않으면 안될 것이다. 이는 인간의 일상 생활에서도 충분히 경험할 수 있는 부분이다. 교사가 학생을 가르칠 때, a부터 z까지 모든 부분에 격식과 정답을 부여한다면, 그 학생은 자율적/ 능동적 배움의 기회는 한 번도 경험하지 못하는 결과가 된다. 자율성을 가진 생명체는 기본 틀을 배우고 나면 적용/ 응용이라는 방법을 생각하면서 자신의 일상 생활을 실시간으로 창작해 나가게 된다. 여기에는 능동성이 개입되며, 이것은 점으로 찍힌 분포도 처럼 경향 혹은 확률적 흐름을 나타내게 된다. 이것이 현재 우리 지구 상에서 보여지는 생태 흐름이다. 이러한 사고에 비추어 본다면, labanotation 기호 시스템은 그 사용 정도에 따라 움직임의 흐름을 드러내기 위한 지표가 되지만, 어느 지점을 넘어서게 되면 움직임의 능동성 / 주체성을 가로 막는 딜레마를 안고 있는 셈이 될 것이다.
그렇다면, 움직임을 표현하는 기호에 motif writing이라는 구분은 어떠한 능동 / 자생적 에너지의 발산을 위한 여지를 남기기 위한 중요한 의의가 있지 않을까 한다. 본 프로젝트는 확률적 흐름을 위한 태생적 움직임과 이의 능동성을 가로 막는 외부 압력이라는 두 가지의 기준을 마련하고, labanotation 기호를 두 가지 카테고리로 분류하여 활용하고자 한다. 전자는 능동성의 여지를 남겨 두고 있는 motif writing의 기호이며, 후자는 이를 억압하고자 하는 또 다른 부류의 기호들이 된다. 본 프로젝트는 초고밀도로 집적된 시스템을 상징하는 정이십면체를 상정하는데, 이것은 자율성을 강하게 막아서기 위한 체계이며 질서이다. 이 초고밀도의 결집 상태를 해체하는 것이 본 프로젝트가 지향하는 흐름이고, 여기에 두 가지 카테고리로 분류되어진 labanotation 기호들은 서로 반대되는 역할이 부여되어 프로젝트의 주제를 표현하게 된다.
기호 분류
1. 전시 (꿀벌의 춤 언어를 재료로 취한다) (꿀벌 소멸 사태의 시사점에 대한 글 : https://bellefaust.tistory.com/53)
: 생태지표종으로 생각되어지는 꿀벌의 채밀 활동에서 발견되어지는 그들의 소통 수단 - 춤 언어에 대한 분석을 기반으로 기호 분류 작업을 진행한다. 꿀벌의 춤 언어에서 관찰되어지는 자연태생적 움직임을 묘사하기 위한 기호를 선별하여 카테고리 A로 분류하고, 인체의 사지 말단 행위를 묘사하기 위한 labanotation 기호들을 카테고리 B로 분류한다. 인체의 사지 말단은 항상 외부 대상과의 접촉 과정 속에서 가장 구체적으로 빈번하게 일어나는 부위일 것이고, 작은 곤충을 쉽게 잡을 수 있거나 뿌리 칠 수 있는 인체 부위 역시 사지 말단 부위가 되기 때문에, 이를 카테고리 B로 분류하여 자연태생적 움직임 / 확률적 움직임을 내포하는 카테고리 A와 대적점에 위치하는 역할을 부여한다. 반면, 방향과 높낮이를 표현하는 labanotation 기호들은 카테고리 A로 분류되는데, 이를 통해 춤 언어로 표현되는 꿀벌 움직임의 자연태생적 경향(- 원무 'round dance' / 8자 춤 'waggle dance')을 나타내게 된다. 두 카테고리에 분류된 기호들은 '해체'의 흐름을 갖는 본 프로젝트의 진행 중 generative 알고리듬에서 생성되는 통제에 의해 다양한 단계를 표현하게 된다.
ㄱ. 카테고리 A
- 더듬이 : 회전 기호
- 6개의 다리 : 방향, 높낮이 기호
- 배 : 춤을 위한 좌우 방향 기호, 정지 상태의 높낮이 기호
=> 수집벌 한 마리의 춤 언어는 다른 벌들에게 전이되어 집단 움직임으로 발전되고, 이것은 해당 집단이 채밀활동을 위한 중요한 정보로서 기능하게 된다. 춤 언어의 행동 양식(참고 : https://bellefaust.tistory.com/53)에 따라 위의 labanotation 기호들은 상황에 맞게 재배열 되어 motif 기호로서 춤 언어를 표현하게 된다.
ㄴ. 카테고리 B
- 손가락 : 사선의 갯수가 5개, 각각은 좌우를 나타내는 기호이고, 손가락에 따라 끝에 따라 붙는 점의 위치가 다르다
- 손 : 사선의 갯수가 4개
- 발 : 가로 선의 갯수가 4개, 좌우를 따로 구분하지 않는 general 기호로 표현
- 발가락 : 가로 선의 갯수가 5개, 좌우를 따로 구분하지 않는 general 기호로 표현
=> 꿀벌의 춤 언어를 불능으로 만들어 버리는 인체의 동작 - 사지 말단의 움직임을 표현한다.
2. 공연
: 무용 안무에서 motif 기호를 전달받아 활용한다. 무용 아티스트와의 직접적인 관련성을 갖지는 않지만, 공연 시간 동안 '해체'의 과정이 진행되는 상황을 움직임 기호로 표현하게 되어 전체적인 흐름을 시각적 배열로 상징화하는 의미를 지닌다. 안무는 'conservatoire-trained <--> gesture' 흐름을 유지한다. labanotation 기호들은 두 카테고리로 구분되며, 선별된 motif 기호는 무용 아티스트의 능동적 가능성과 에너지를 유지하고자 하는 의미를 지니고, 그 외의 기호들은 motif 기호의 그러한 의미를 억제하는 역할을 가지게 된다.
(참고 : https://bellefaust.tistory.com/30)
(자세한 플랜은 추후 게재)
'구현과정 > visualization 제작' 카테고리의 다른 글
라바노테이션 재해석, 영상 pt. 1 (0) | 2023.08.01 |
---|